대구시티투어


시즌 투어
시티투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는 시티투어 이용안내
코스별 이용요금/이용방법에 대해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출발지
10:30 청라언덕역
11:00 동대구역

운행시간
10:30~18:00
※ 투어종료시간은 교통 및 현지사정상 변동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운행일자
봄, 가을 시즌


코스 안내
청라언덕역 탑승위치 / 동대구역 탑승위치
청라언덕 탑승위치
동대구역 탑승위치
이용요금
구분 정상요금 할인요금
열차승차권 외국인
(호텔,게스트하우스,한옥체험시설 숙박권 소지자)
일반(대학생) 10,000원 8,000원 8,000원
중고생 8,000원 6,400원 6,400원
경로(만65세이상),어린이(보호자 동반 시 48개월 미만 1명 무료),국가유공자,장애인 6,000원 4,800원 4,800원
※ 예약처 : 대구시티투어홈페이지(www.daegucitytour.com), 대구광역시관광협회(053-627-8900)
※ 48개월 이하인 유아가 무료로 탑승 시, 만차인 경우 좌석을 배정 받을 수 없습니다.
  접이식 휠체어 버스 탑제 가능 (전동식 휠체어 탑제 불가능)
※ 출발 2일 전 오후 1시까지 예약자가 없을 경우 정기코스는 운행하지 않습니다.
편의 제공
① 시티투어 가이드가 동승하여 관광지에 대한 소개와 안내 제공
② 문화관광해설사와 유연한 연계를 통한 상세하고 흥미로운 관광정보 제공
③ 각 관광지에 마련된 프로그램 이용 시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가능
시즌 투어 산으로 코스 설명
방짜유기박물관
놋쇠를 녹여 붓고 두드려 만든 그릇인 방짜를 모아 전시한 전국 유일의 방짜유기 전문 박물관으로 유기장 이봉주 선생의 작품들을 관람할 수 있다.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399번지
  • 연락처 : 053-606-6171~4
  • 홈페이지 : http://artcenter.daegu.go.kr/bangjja
전국 최초로 방짜유기를 테마로 한 전문박물관으로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유산인 방짜유기의 제작기술을 전승.보존하고, 후손들에게 전통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알리며 지역문화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83년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된 유기장 이봉주(李鳳周) 선생님이 평생 수집, 제작한 방짜유기 275종 1480점(악기, 식기, 제기, 생활용품 등)을 무상기증 받아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 입구에는 이봉주 선생님이 제작한 무게 98Kg, 지름 161Cm의 세계 최대의 징이 전시되어 있어 찾는 이로부터 큰 관심을 끈다.

지하1층, 지상2층의 규모로 유기문화실, 기증실, 재현실로 구분된 3개의 전시실과 자료 검색실, 문화 사랑방, 야외공연장 및 기획전시실, 기념품점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동화사시설지구
동화사시설지구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 부근에 위치한 숙박 및 상업지역이다.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동화사 집단시설지구는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에 위치한 세 곳의 시설 지구 중 가장 넓고 많은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팔공산 케이블카로 향하는 도로에는 12지신을 형상화한 석조물들이 서 있다.

그리고 대구시 문화재자료 제21호로 지정된 수릉향탄금계(綬陵香炭禁界)표석 또한 동화사 집단시설지구 내 팔공산자연공원 관리사무소 앞 화단에 자리하고 있다.

접근하는 주요 대중교통은 2017년 현재 급행1, 팔공1, 팔공3이 있다.

동화시설지구 총 면적은 423,000㎡, 상업시설지는 41,612㎡[시설 수 105개], 숙박시설지는 58,050㎡[시설 수 16개], 공공시설지는 4,140㎡[시설 수 4개], 기타시설지는 152,637㎡[시설 수 18개], 유보지는 165,408㎡, 기타 녹지는 1,153㎡로 구성되어 있고, 약 738면의 주차시설을 가지고 있다.

매년 10월경에 ‘팔공산 승시(僧市)축제’를 개최하여 공연·전시·문화체험 행사 등을 통하여 관광객을 모으고 있다.

주변에 동화사, 케이블카,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자동차극장, 동화야영장 등의 편의·위락시설을 갖추고 있다.
신숭겸장군유적지
대구시 동구 지묘동에 있는 고려 초기 무신 신숭겸의 유적지이다.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숭겸길 17
  • 연락처 : 053-662-2361
팔공산에는 태조 왕건과 관련된 지명이 수없이 많다. 그 중 하나가 신숭겸장군유적지이다.

태조 왕건이 공산동수전투에서 후백제군에게 포위 되었을 때 신숭겸장군이 태조의 투구와 갑옷으로 갈아입고 적군을 유인하여 왕건의 목숨을 구했다.

왕건이 그가 전사한 자리에 순절단을 쌓아던 자리에 그를 기리는 유적지가 조성되었다.
불로동고분군
214기의 삼국시대 고분이 원형 그대로 복원되어 있으며, 대구 일대에 현존하는 고분군 중 가장 외형적인 형태가 잘 갖추어져 있다.
  • 소재지 : 대구 동구 불로동
  • 지정번호 : 사적 제262호
  • 지정연도 : 1978년
  • 시대 : 삼국시대
  • 규모 : 남북 28m, 동서 62m, 높이 6m
  • 연락처 : 053-984-3506
불로동 고분군은금호강유역에 접하고 있으며 불로동에서 팔공산으로가는 도로에서 경부고속도로와 만나는 지점의 동쪽 구릉에 분포하고 있다.

총 214기의 대소 고분들이 밀집되어 있는 이 곳은 1938년과 1963년 두차례에걸쳐 몇 기만 표본 발굴하여 조사한 결과 금동제의 장신구와 철제무기, 토기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된 바 있다. 출토유물로 보아 대구지역의 타 고분들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같은 계통임을 짐작할 수 있다. 전체 고분군의 축조시기는 대략 5∼6세기에 걸치는것으로 추정된다.

불로동 고분군은좁은 지역에 많은 고분들이 밀집해 있는 점에서 고대사회의 일면을 엿볼 수 있고, 대구분지 내에서 비슷한 권력집단이 내당동, 비산동, 불로동등 곳곳에 할거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자료로 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시즌 투어 강으로 코스 설명
하중도
유채꽃, 코스모스를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대구 대표 관광지이다.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665
  • 요약내용 : 유채꽃, 코스모스를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대구 대표 관광지이다.
대구 북구 8경 중 1경인 금호꽃섬은 2021년 9월 시민공모전을 통해 하중도에서 금호꽃섬으로 명칭이 변경된 곳이다.

팔달교와 노곡교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유채꽃, 청보리, 코스모스를 볼 수 있고 사계절 모두 방문하기 좋은 명소이다.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 가족 단위의 관광객이 많이 찾는 대구 대표 관광지이다.
삼성창조캠퍼스
성창조캠퍼스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개소한 창조경제센터이며 원래 이 자리는 제일모직의 대구공장이었다.
  • 소재지 : 대구 북구 호암로 51
  • 연락처 : 053-341-3562
  • 홈페이지 : http://www.dscc.co.kr
성창조캠퍼스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개소한 창조경제센터이며 원래 이 자리는 제일모직의 대구공장이었다.
침산정
침산정은 조선 전기 대구 출신인 사가 서거정이 읊은 「대구십영」 중 제10경인 ‘침산만조’에 의거하여 지은 정자이다.
  • 소재지 : 대구 북구 침산동 1344-1
  • 연락처 : 053-665-4131
「침산만조」는 ‘침산에서 바라본 저녁 노을’을 읊은 시이다. 지금도 해질녁 침산정에 올라 바라보면 ‘침산만조’를 느껴볼 수 있다.

오봉산으로 불리기도 하는 침산은 그리 높은 편은 아니지만 대구 분지의 중심부 인근에 위치해 있어 주변을 조망하기 좋다.
동촌해맞이공원
동촌유원지 언덕에 자리 잡고 있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매년 1월 1일에는 해맞이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소재지 : 대구시 동구 효목동 212-2
벚꽃길이 조성되어 있어서 벚꽃 필 때 방문하면 좋은 관광지로, 동촌유원지에서 주변 경관을 조망하기 가장 좋은 곳이다.

북쪽으로 길게 팔공산 주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동쪽으로는 환성산, 낙타봉, 초례산이 이어지고 있다.

동쪽 아래에는 해맞이다리 그리고 남쪽 가까이로 형제봉이, 더 멀리 남쪽 성암산, 앞산이 모두 보이는 곳이다.
고모역복합문화공간
고모역복합문화공간에서는 단절된 폐역사를 살아있는 역사로 재생하여 고모역의 이미를 재발견하고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조하는 곳이다.
  • 소재지 : 대구 수성구 고모로 208
  • 연락처 : 053-791-3334
  • 홈페이지 : http://www.gomo.or.kr
고모역복합문화공간은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의미 있는 장소로써 어른들에게는 향수를, 아이들에게는 역사를 되돌아보며 미래를 이야기하는 문화의 플랫폼이다.